자율주행 기술 레벨 0에서 레벨 5, 어느 단계부터 자율주행일까?

세계적으로 자동 운전 기술은 국제 자동차 엔지니어 연합과 통칭되는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가 제정한 기준인 J3016을 보이는데 이 기준은 자동 운전 기술을 수준 0부터 수준 5까지 총 6단계로 분류한다.이 중 수준 0부터 수준 2까지는 “These are driver support features”, 레벨 3에서 레벨 5까지 “These are automated driving features”으로 정의하고 자동 운전 차와 부를 수 있는 기술은 레벨 3단계에서 명시했다.현재 상용화되어 자동 운전으로 불리는 테 술라의 오토 파일럿, GM의 수퍼 크루징 등의 기술은 주행 보조 기술이며, 아직 레벨 3의 자동 운전 차량은 상용화되지 않았다.DDT, OEDR, 그리고 ODD개념의 자동 운전을 정의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개념이 DDT(Dynamic Driving Task)OEDF(Object and Event Detection Response), 그리고 ODD(Operational Design Domain)이다.

DDT:도로 주행시에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실시간 운영적/전술적 기능을 말한다, 경로 선정과 같이 전략적 기능은 포함되지 않는다.Operational functions(운영적 기능)은 차량의 조향과 가감 속도 등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능으로 Tactical functions(전술적 기능)은 관리, 판별, 반응으로 나뉘었지만 차량의 돌발 상황이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어떻게 주행할지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OEDR:운전과 관련해서 적절한 반응을 실현하는 모든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면, 카메라가 물체를 감지하거나 물건을 분류하는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ODD: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을 위해 설계된 특정 조건(장소, 속도, 주/야, 날씨 등)을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예를 들어 자율주행 운행조건을 고속도로, 속도 35mph(56km/h) 이하 낮에만 주행하도록 제한하면 이 조건 외에는 운전자가 주행을 책임지게 된다. 그럼 각 레벨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수준 0비 자동화(No Automation)자동 운전과 관련된 어떤 기술도 보유하지 않은 자동차로 운전자가 모든 상황을 감시하고 주행에 대한 책임을 갖고 있다.수준 1드라이버 어시스트(Driver Assistance)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첨단 드라이버 지원 시스템)로 불리는 운전자 보조 기능이 탑재되며 운전 환경 정보를 이용하고 운전대 핸들 또는 가감 속도 속에서 하나의 기능을 지원한다.운전자는 운전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비상시에 직접 제어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다.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차량이 차선을 떠나라고 경고했던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차선 이탈 경보 장치), 앞차와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유지하는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기능이 있다.수준 2부분 자동화(Partial Automation)드라이버의 조작 없이 조향 장치와 가감 속도를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수준 1에 장착된 기능이 합쳐진 것을 말한다.차로에서 떠나지 않도록 자동차 스스로 조종 장치를 움직일 앞차와의 간격을 고려하고 스스로 속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수준 2까지 운전자는 전방 주시 의무를 갖고 있어 운전 보조 기능이 작동해도 휴대 전화를 보거나 책을 읽는 등의 행위는 해서는 안 된다.레벨 3조건부 자동화(Conditional Automation)수준 3부터는 시스템이 운전의 주체가 되어, 일반적인 자동 운전 기능이라고 한다.차량이 자동적으로 운전하지만 매우 한정적인 상황에서만 자동 운행이 가능하다.그러므로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운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드라이버가 언제든지 운전에 개입할 준비를 해야 한다.제어권을 차량과 운전자가 서로 넘겨주길 take-off라는 take-off에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 날카로운 연구 및 논의하고 있다.자동 운전 차가 take-off요청을 드라이버로 한 뒤 운전자가 제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몇초에 하느냐에 따라서 사고 시 책임 소재가 바뀌기 때문이다.예컨대 take-off시간을 3초라고 가정하면 3초 이내에 발생한 사고는 자동차 제조사가 책임 져야 한다.이 때문에 현재 자동차 업체와 법제화 기간 동안에는 이 시간을 놓고 갈등하고 있다.세계적으로 레벨 3의 자동 운전 차를 상용화하기 위한 제도와 기준 제정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수준 3자동 운전 차가 장기적으로 판매/운행될 것으로 전망된다.레벨 4고도 자동화(High Automation)특정 상황에 한정된 도로에서 모든 상황을 차량이 스스로 판단해서 주행하는 단계를 말한다.그러므로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자등 다른 행동을 해도 되고 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해도 차량은 안전하게 차량을 정차하는 등의 조치를 자동으로 실행한다.레벨 5완전 자동화(Full Automation)수준 5는 모든 상황에서 드라이버 없이 자동 운전 차 스스로 목적지까지만 운행, 주차 등 모든 기능이 완전히 자동화된 단계이며 궁극적인 자동 운전 단계로 볼 수 있다.레벨 4단계는 ODD가 제한적이라면 수준 5에서는 제한 없이 모든 상황에서 주행이 가능하다.문·편집 a2z홍보 마케팅 팀

https://www.youtube.com/shorts/AaCS9iDiDTI

error: Content is protected !!